RPS(Risk-Based Planning & Scheduling)

RPS란 무엇인가?


RPS(Risk-Based Planning & Scheduling)은 Simulation Model을 이용하여 생산 스케줄을
확률론적으로 사전에 예측하고 평가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결정론적 방식(APS)에 비해 중요한 제약조건을 반영하고 갑작스런 다양한 변수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빠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생산 목표 및 납기를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궁극적으로는 생산비용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RPS 장점


- 생산시스템에 대한 3차원시뮬레이션 모델과 스케줄링 소프트웨어의 통합한 생산스케줄 작성
- 시스템 내 존재하는 위험과 변수를 반영하여 보다 현실에 가까운 생산스케줄의 작성을 지원
- RPS는 기존의 Scheduling Software가 제공하는 Deterministic 방식뿐 아니라 Stochastic 방식의 생산스케줄 작성 지원
- 생산시스템에 내제된 위험과 리스크를 가시화하여 목표생산량이나 납기, 비용, 비용과 같은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확률로 제공
- 생산성을 저해하는 원인(Constraint)를 탐색하여 문제해결에 위한 빠른 대안을 제공

RPS의 기능

- 3D Dynamic Simulation
- RPS (Risk-Based Planning & Scheduling)
- Integration to other systems (MES, ERP, PLM, …)
- Order 정보 등 외부 정보와 MES 공정 내부정보를 연계한
  3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 예측을 통한 의사결정의 지원
- 변경에 대한 신속한 Simulation분석
- 납기준수 가능확률 (Stochastic)
- 중요제약의 탐색, 최적대안의 도출
- Data Binding에 의한 동기화
- 고장분석을 통한 Rescheduling
- 다양한 대안에 대한 동시 분석, 비교
- Dynamic Dashboard
- 의사결정자료 Reporting


- 주문, 생산 정보의 현장적용
- 설비 생산현황의 DB저장


- 모니터링 제어


- Layout 분석
- 설비, 인원 배치
- 운영 Parameter
- 물류

RPS 적용시 고려사항

위험 및 불확실성 관리

- 중요 제약의 탐색
- 숨겨진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 도출
즉각적인 대응

- 현장의 다양한 상황(고장/지연)에 따른 신속한 Rescheduling
- 병목 또는 납기 지연의 원인을 파악
- 긴급 오더에 대한 우선순위 변경이 미치는 영향 파악
Fast Implementation

- 이종 Database와의 Interface 제공
- 모델의 구축과 수정이 용이
의사결정 지원

- 납기 가능 여부 및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을 분석하여 제공
-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납기 가능 여부를 확률적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
생산 스케줄 작성 시간 단축

-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빠른 생산 스케줄링
생산효율 증대

- 생산 리드타임 및 지연시간 감소
- 생산량 증대 및 생산비용 절감
- 생산 설비의 가동률 증가
- 대화형 간트차트를 이용하여 비부가가치 시간의 원인을 탐색
3차원 시각화

- 3D Animation을 통하여 생산과 운영에 대한 직관적 통찰을 제공